공기이송 시스템이란 배관을 통해 분체를 공기를 사용해서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는 방식이다.
공기이송방식은 관내이송속도와 혼합비(원료중량/공기중량) 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뉜다.
Dilute Phase 이송방식은 공기이송 방식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으로 배관에 원료를 작게 싣고 빠른 속도로 이송하는 방식
장점 : 공기이송 방식 중 가장 난이도가 낮은 이송방식
단점 : 공기이송 방식 중 이송용량 대비 가장 큰 배관과 가장 많은 풍량을 필요로 한다.
Medium Phase 이송방식은 원료가 일정속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배관 바닥에 깔려 이송되는 방식이다.
장점 : Dilute Phase 보다 작은 배관과 작은 풍량으로 이송 할 수 있다.
단점 : 긴 수평구간 중 곡관등 경로 변경 발생시 유동이 합쳐져서 PLUG가 발생하는 경우 큰 압력이 발생하여 동력원(FAN, BLOWER등)이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TRIP이 발생하여 배관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 한다.
Medium/Dense Phase 이송방식은 원료가 Medium Phase 보다 낮은 속도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파도를 치는 듯한 PLUG가 발생하는 형태로 이송되는 방식 이다.
장점 : Medium Phase 보다 작은 배관과 작은 풍량으로 이송 할 수 있다.
단점 : 이 이송 방식 부터는 고압수송으로 바뀌며, PLUG와 GAS의 형태를 고르게 만들어야 장거리 이송이 가능하다.
공기이송 방식 중 원료의 농도가 가장 높아 가장 느리고 가장 높은 압력으로 원료를 이송 하는 방식
장점 : 초저속 및 최저유량으로 배관에 마모가 가장 적으며, 원료의 파손율도 가장 적다. 이와 더불어 가장 작은 배관과 집진 설비를 사용할 수 있어 설비투자비 및 유지보수비가 가장 적다.
단점 : 공기이송 방식 중 가장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이송방식 임. 배관 막힘 발생 해소시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.
구분 | 이송방식 | 혼합비 | 이송속도(m/sec) | 이송압력(bar) | 동력원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A | Dilute Phase | 0.1~15 | 15~40 | 0.01~0.5 | BLOWER | 가장 높은 설비투자비 |
B | Medium Phase | 10~20 | 10~25 | 0.1~2.0 | COMP BLOWER | 압손설계 주의 |
C | Medium/Dense Phase | 25~70 | 4~15 | 1~6 | COMP | 보편화된 Dense Phase |
D | Dense Phase | 30~150 | 1~5 | 1~10 | COMP | 높은기술력 |